본문 바로가기

열린노트218

현대문학 테마 79. 박남수 박남수의 생애 초기 활동 박남수(朴南秀, 1918~1994)는 평양에서 태어나 평양 숭인상업학교 재학 중이던 1932년(16세) 에 시 를 투고하는 등 일찍부터 문학에 관심을 보였다. 졸업 후 일본 주오 대학에서 공부하면서 1939년(23세) 에 투고한 , , , , 등이 정지용의 추천을 받아 정식으로 등단했는데, 공교롭게도 같은 해 으로 등단한 이른바 ‘청록파’ 시인들에게 가려져 별로 빛을 보지 못했다. 청록파 시인들이 순수한 서정으로 자연을 노래했다면, 같은 시기 박남수의 시들은 농촌 생활이나 풍경을 소재로 하면서도 일제 강점에 의한 피식민 상황이라는 암울한 시대상을 ‘밤’, ‘어둠’ 같은 상징으로 풀어내 당대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 의식을 드러낸다. 1940년(24세)부터 박남수는 창작과 이론을 겸하.. 열린노트/현대문학테마
구글 애드센스 앵커광고를 화면 하단에만 뜨게 설정하는 법 애드센스 앵커광고는 스크롤을 내리거나 올려도 화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광고이다. 그런데 솜글 블로그는 모바일에서 앵커광고가 상단에 떠 버리면, 메뉴박스의 '닫기' 버튼이 가려져 버리는 대참사가 일어난다. 이럴 땐 간단하게 코드만 수정하면 앵커광고가 화면 상단에 안 뜨게, 그러니까 화면 하단에만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구글 측에서는 앵커광고는 화면 상단에 게재될 때 광고 효과가 더 좋다고 설명하고 있으니 참고) 앵커광고가 화면 하단에만 나오게 설정하는 방법 방법은 간단하다. HTML 페이지에서 광고 스크립트 코드를 아래 코드와 같이 바꾸면 된다. '코드번호(숫자)' 부분은 각자 자기 코드번호로 변경해야 한다. 원래의 코드에서 ', overlays: {bottom: true}'라는 코드를 추가해 광.. 열린노트/IT·SW·디자인
현대문학 테마 78. 김관식, 구자운, 김종길 김관식, 구자운, 김종길은 1960년을 전후로 문단 활동을 시작하여 주로 고전적인 기풍을 절제된 언어를 통해 드러낸 시인으로 평가된다. 김관식 김관식(金冠植, 1934~1970)은 한문과 동양의 고전에 능통하여 동양인의 서정 세계를 동양적 감성으로 구상화함으로써 특이한 시풍을 개척한 시인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세련된 시어와 밝은 동양적 경지로 승화하려는 높은 정신의 추구를 엿볼 수 있으며, 서양 외래 사조를 배격하고 동양적 예지의 심오한 세계로 몰입하여 그 경지를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세속적 생활 방식을 무시한 기행(奇行)으로 유명했던 그는 결국 가난과 질병으로 37세에 요절하고 말았다. 대표작으로는 1957년(25세) 펴낸 첫 시집 에 실린 가 있다. 너무나 사무치는 그리움 때문에 돌이 되었다는 .. 열린노트/현대문학테마
티스토리 썸네일 비율 예시 모음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이미지, 사진 썸네일이 찌그러지거나 이상하게 잘린다면 썸네일 비율을 안 지켰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티스토리는 목록, 첫화면 등의 썸네일 비율을 일정 값으로 정해 놓고 있어서, 이걸 지켜줘야 썸네일이 깔끔하게 출력된다. 이미지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로×세로를 잘라서 출력하는 게 제일 깔끔하니까 C비율을 공유한다. 스킨 코드에서 해당 부분의 숫자를 비율에 맞게 조정하면 된다. C20 비율 C20x20 1:1 C30 비율 C30x20 3:2 C30x30 1:1 C40 비율 C40x40 1:1 C50 비율 C50x50 1:1 C60 비율 C60x50 6:5 C70 비율 C70x50 7:5 C70x70 1:1 C70x80 7:8 C70x100 7:10 C80 비율 C80x50 8:5 C80x.. 열린노트/IT·SW·디자인
삼성 갤럭시 S7 부팅화면 멈춤 현상 해결 방법 강인이의 라리가 데뷔골을 빔프로젝터로 보고 있는데 휴대폰에 과부하가 걸렸는지 갑자기 자기 혼자 재부팅되더니 아래 화면에서 그냥 멈춤.... 아무 버튼도 안 먹음....ㅠㅠ 인터넷에 원인을 찾아 보니 메인보드 결함이다, 데이터가 날아갈 거다 등등 온갖 겁주는 답변들이 즐비하였으나 무한 정보탐색 결과 단순 화면멈춤이란다. 홈버튼+전원버튼+볼륨하단버튼 동시에 7~8초 누르면 강제 재부팅돼서 정상 사용된다. 십 년 감수했네. 끝. 열린노트/IT·SW·디자인
블루투스 키보드가 버벅거리고 입력이 잘 안 될 때 언젠가부터 블루투스 키보드(로지텍 제품)가 영 버벅거리고 말썽이어서 별의 별 방법을 다 찾아봄..... 여기저기서 수집한 해결 방법을 공유한다. 1. 인터넷 공유기를 떨어뜨려 본다. 나는 이게 문제였다. 인터넷 공유기가 키보드와 가까이에 있으면 주파수가 겹쳐서 물린다고 한다. 공유기를 멀리 떨어뜨려 보자. 한 방에 해결했음. 2. 동글(수신기)을 키보드와 가까이에 있는 포트에 꽂는다. 나는 이것도 문제였다. 3. USB 절전 해제 그래도 안 되면 USB 절전을 해제해 보자. 블루투스는 USB 동글로 꽂히는데, 윈도우10 기본 설정은 절전모드에서 USB포트가 절전되도록 되어 있다. 아래 그림처럼 제어판의 '전원 관리 옵션 설정 편집'에 들어가 '고급 전원 관리 옵션 설정 변경'을 클릭하면 이런 전원옵션 창.. 열린노트/IT·SW·디자인
어버이날 용돈 봉투 창작 자료입니다. *자료가 도움이 되었다면 인사 한 줄 남겨 주세요. 어버이날에 쓸 신사임당 용돈 봉투를 만들었다. 형광노랑 색지에 출력해서 색연필로 볼터치(!) 그려 주니 예쁘다. PDF파일 다운로드 후 A4용지에 출력하면 딱 사이즈 좋은 돈봉투 완성. PDF파일 다운로드 필요한 분은 자유롭게 쓰세요... 재배포는 불허합니다. 원더우먼 용돈봉투는 아래 링크에서 받을 수 있다. 원더우먼 용돈봉투 보러 가기 열린노트/만들기·그리기
드디어 최적의 휴대용 수채화 물통을 찾았다. 어반스케치를 위해 항상 가방에 넣고 다닐 물병을 참 오랫동안 찾아다녔다. 파버카스텔 접이식 물통부터 휴대용 3단 물통, 자바라형 물통, 실리콘병, 포스터칼라 공병, 잼병, 약병, 페퍼론치노 병, 파슬리 병, 견과류병, 화장품 공병 등등.... 정말 국내외에서 공수하고 주워담은 수많은 병을 쓰다가 어떤 건 물이 너무 적게 들어가서, 어떤 건 뚜껑이 없어서, 어떤 건 물이 자꾸 새서, 어떤 건 입구가 너무 좁아서, 어떤 건 너무 커서, 어떤 건 너무 길쭉해서 안정성이 없어서 등등..... 그 무엇도 마음에 쏙 들지 않았는데, 드디어 찾았다. 'J-bottle 사각 광구병' 100ml짜리. 별 거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대충 구글링해 본 결과 일본에서 특허(?) 받은 방수캡인 J-cap 기술로 만들어진 병이라.. 열린노트/만들기·그리기
한국산업인력공단 2차시험/필기시험 답안지 한글(hwp) 양식 개인적으로 필요해서 만든 것인데 필요하신 분들 쓰시길... 치수는 테두리 두께까지 거의 정확하게 만들었고, A4 크기에 맞게 줄였다. 원래 답안지는 230×297mm이고 왼쪽 또는 오른쪽에 여백이 있는 모양데, 이건 좌우 여백을 똑같이 맞추고 대신 가로 총 길이를 20mm 작게 해서 A4 크기로 자른 모양임. 참고로 실제 답안지 재질은 미색 모조지(100g/㎡)라고 한다. 기나긴 답안을 쓰기에는 너무 얇은 재질이 아닌가 싶다. 1쪽은 로고 없는 쪽이고, 2쪽은 실제 답안지와 똑같이 한국산업인력공단 로고를 넣어뒀으니 필요한 쪽만 출력하면 된다. 한글파일 다운로드 공단에서 배포하는 PDF 파일은 아래에서 다운로드 열린노트/만들기·그리기
현대문학 테마 77. 해방 이후의 희곡 문학 : 오영진, 차범석, 천승세 오영진 오영진의 생애 우천(又川) 오영진(吳泳鎭, 1916~1974)은 평양에서 장로의 아들로 태어나 평양고보와 경성제국대학을 졸업하였다. 대학 시절 논문 을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하였으며, 문맹이 많은 상황에서 민족을 계몽하려면 영화가 좋겠다는 생각을 하고는 영화 작가가 되기 위해서 동경으로 건너가 동경발성영화제작소에 입사한다. 1942년(27세)에는 첫 시나리오 과 를 발표하여 각광을 받았으며, 1945년(30세) 해방 후에는 조선민주당에 참여하여 정치 운동을 벌이다가 월남하였다. 1950년(35세)에는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약칭 문총)사무국 차장에 피임되었다. 1952년(37세) 중앙문화사 사장 및 월간 주간을 역임하였고, 그 뒤로도 예술원 회원, 국제펜클럽회원, 국제연극인협회 한국본부부위원장, 시나리.. 열린노트/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76. 이호철 이호철의 생애 어린 시절과 습작기 이호철(李浩哲, 1932~2016)은 함남 원산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할아버지에게 을 배우며 신동 소리를 듣고 자란다. 이후 고향의 갈마국민학교를 거쳐 1945년(14세) 해방 후 원산 한길중학교에 입학하는데, 이 시기 이호철은 5년 동안 초기 북한 체제 속에서 농촌 공동체가 무너지는 급격한 현장을 그대로 목격하였다. 이호철은 중학교를 마친 후 원산고등학교에 진학하였으나, 졸업을 앞둔 1950년(19세) 6 · 25 전쟁이 일어나는 바람에 인민군에 동원되었다가 국군의 포로가 되었다. 그는 다른 포로들과 함께 북으로 가던 중 자형을 만나 겨우 풀려나 1 · 4 후퇴 직전인 1950년 12월 LST를 타고 월남하여 부두 노동자, 제면소 도제로 일하다가 미군 기관의 경비원으.. 열린노트/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75. 최인훈 최인훈의 생애 어린 시절 최인훈(崔仁勳, 1936~)은 두만강변의 국경 도시인 함북 회령에서 목재 상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943년(8세) 회령북국민학교에 입학하여 식민지 교육을 받았다. 1945년(10세)에 해방이 되자, 국경 곁인 최인훈의 집 주변에는 소련군이 곧바로 들어오고 읍내 곳곳에서 소련군과 일본군 사이에 시가전이 벌어진다. 이 때문에 그의 가족은 읍내 집을 떠나 시골로 잠시 거처를 옮겼는데, 다시 공산 정권이 들어서자 부르주아지로 분류된 그의 아버지는 1947년(12세) 다시 함남 원산으로 이주한다. 그곳에서 최인훈은 원산중학교와 원산고등학교에 다녔다. 1950년(15세) 한국 전쟁이 터진 후 최인훈 가족은 원산항을 통해 LST(; 탱크 수송 화물선)월남하여 한 달쯤 부산의 피난민 수용소.. 열린노트/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74. 신동엽 신동엽의 생애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신동엽(申東曄, 1930~1969)은 충남 부여읍 동남리에서 농민의 장남으로 태어나는데, 집안이 워낙 가난했다고 한다. 1943년(14세) 부여국민학교를 졸업한 후 학비를 줄이기 위해 마을에서 관비가 지원되는 전주사범학교에 입학하여 병영 생활이나 다름없는 일제 말기의 전주사범 기숙사 생활을 묵묵히 견딘다. 이 무렵부터 신동엽은 문학에 관심을 기울였는데, 하근찬의 회고에 의하면 신동엽은 매우 내향적이고 키가 작은 친구였다고 한다. 신동엽은 1948년(19세) 동맹 휴학으로 귀향하여 국민학교에 발령 받았다가 사흘 만에 그만두고, 이듬해인 1949년(20세) 단국대 사학과에 입학한다. 그러나 곧 6 · 25가 일어나는 바람에 부여에서 민청 선전 부장으로 지내다가, 서울 수.. 열린노트/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73. 김수영 김수영의 생애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김수영(金洙暎, 1926~1968)은 서울 종로에서 8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난다. 김수영의 가문은 본래 무반 계급으로, 경기도와 강원도에 널따란 땅을 가지고 해마다 4백여 석을 거둬들이는 지주 집안이었지만 일제 강점기 급변하는 사회 흐름에 적응하지 못해 서서히 몰락하였다고 한다. 김수영은 대여섯 살 때부터 유치원과 서당에 나가 한문을 배우고, 1934년(9세)부터는 효제초등학교의 전신인 어의동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여 전 학년 우등으로 졸업한다. 그러나 보통 학교를 졸업할 즈음부터 폐렴과 늑막염 때문에 1년쯤 학업을 쉬었고, 결국 당대 수재들이 진학하던 경기도립상업학교 입학에 낙방하고 2차로 응시한 선린상업에도 떨어져 선린상업의 야간부에 진학했다. 1941년(16세) 김.. 열린노트/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72. 김춘수 김춘수의 생애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김춘수(金春洙, 1922~2004)는 경남 충무의 꽤 유복한 집안에서 태어나 따뜻한 보살핌을 받으며 자란다. 그의 부모는 개방적 사고를 가지고 있어 일제 강점기에 보기 드물게 그를 유치원에 보내는데, 김춘수는 자신의 환경에 대해 우월감을 갖기보다는 오히려 또래 친구들에 대한 미안함과 죄책감, 그리고 여기에서 비롯된 소외감 때문에 괴로워한다. 1929년(8세) 김춘수는 보통학교에 입학하여 내내 일등을 차지하고 도지사 표창까지 받는다. 졸업 후에는 서울로 올라와 하숙방을 잡고 경기공립중학교를 졸업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 김춘수는 낯선 도시 생활에 적응하지 못해 교과 성적이 자꾸 떨어져 갔고, 이를 염려한 아버지는 조부모만 고향에 남기고 가족들을 데리고 서울로 올라왔다. .. 열린노트/현대문학테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