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열린노트218

자주 쓰는 수채화 붓과 펜들 수채화는 항상은 아니고 가끔 그리는데, 그림 실력은 만년 제자리다. 더 자주, 더 많이 그려야 는다는데. 우선 자주 쓰는 붓과 펜들을 소개한다. 먼저 붓들. 화홍의 합성모와 아크릴용 붓 등은 프링글스 통에 꽉꽉 채워 네 통 정도 갖고 있고 새것만도 한 통이 넘는데(나는 원래 아크릴화를 즐겨 그렸다), 정작 현재 쓰는 것들은 이것들이 전부다. 위부터 화홍 500 다람쥐털 몹브러시 3호와 1호, 라파엘 903 쁘띠 그리스 12호, 에스꼬다 레세르바 휴대용 8호, 사쿠라 워터브러시 大. 먼저 화홍 500 시리즈. 이 사진은 1호다. 청설모 털이라고 하고 파는데 아무래도 합성모가 섞여 있는 것 같다. 그래도 가격이 합리적이고 물을 머금는 양이 많아서 큰 그림 초벌에는 이만한 게 없다. 1호부터 7호까지 나오고 .. 열린노트/만들기·그리기
현대문학 테마 71. 박경리 박경리의 생애 문단 데뷔 박경리(朴景利, 1927~2008)는 경남에서 태어난다. 열다섯 살 때 아버지가 조강지처를 버리고 네 살 연상의 어머니와 결혼하였는데, 이후 아버지가 여기저기 딴살림을 차리고 집안을 돌보지 않는 바람에 어머니 밑에서 자랐다고 한다. 때문에 어릴 때부터 소외감과 아버지에 대한 반항심을 키웠지만, 비교적 평범한 여학교 시절을 보내며 독서와 시 쓰기에 매달렸다. 훗날 박경리는 아버지의 임종조차 외면한다. 박경리는 1946년(20세) 진주여고를 졸업한 후 곧 결혼하는데, 남편이 6 · 25 때 행방불명되더니 1950년(24세) 말에 서대문형무소에서 죽고 만다. 이어 세 살짜리 아들까지 죽자, 박경리는 틈틈이 습작을 하며 문학을 통해 절망을 이겨내고자 한다. 그러던 중 진주여고 선배가 김.. 열린노트/현대문학테마
다이소 도자기 파레트(수채화 팔레트) 다이소에 갔다가 명품(?)을 발견했다. 바로 도자기 팔레트. 도자기 재질임에도 엄청 가볍고, 좀 작긴 하지만 서브 팔레트로 쓰기 충분하다. 가격도 착해서 단돈 2,000원. 모든 팔레트는 금세 물이 드는데, 유일하게 도자기 재질만 물이 들지 않는다. 추가로 내가 발견한 재질은 바로 손코팅 필름....! A4용지 같은 흰 종이에 손코팅필름을 붙이면 물이 거의 들지 않는다. 아무튼... 점점 화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네. 열린노트/만들기·그리기
CSS Colors 속성을 색상 이름으로 간편하게 입력하기 여섯 자리의 복잡한 코드값 대신 색상값으로 간단하게 색을 사용할 수 있다. 가령 다음과 같이 배경색읕 'darkorange', 글자색을 'oldlace'로 해서 코드를 입력하면, 테스트입니다. 이렇게 나온다. 테스트입니다. 아래는 웹표준 140개 색상이름이다. 내가 쓰기 편하려고 올려두는 건 함정. 색상명 HEX 코드 색상 AliceBlue #F0F8FF AntiqueWhite #FAEBD7 Aqua #00FFFF Aquamarine #7FFFD4 Azure #F0FFFF Beige #F5F5DC Bisque #FFE4C4 Black #000000 BlanchedAlmond #FFEBCD Blue #0000FF BlueViolet #8A2BE2 Brown #A52A2A BurlyWood #DEB887 C.. 열린노트/IT·SW·디자인
현대문학 테마 70. 기타 1950년대 소설 : 오상원, 선우휘, 하근찬. 안수길, 이범선, 송병수, 서기원 한국 전쟁 후에는 전쟁의 비극적 체험과 상처를 담은 일군의 전후 소설이 마련된다. 이들은 몇 가지 경향으로 나뉜다. 이 중 장용학, 전광용, 황순원, 손창섭의 작품은 따로 다루고, 여기에서는 오상원, 선우휘, 하근찬, 안수길, 송병수, 서기원, 이범선의 작품을 다루기로 한다. 실존주의적 경향의 고발 소설 「요한시집」 (장용학 , 1955), 「유예」 (오상원 , 1955), 「모반」 (오상원 , 1957), 「불꽃」 (선우휘 , 1957), 「사수」 (전광용 , 1959) 전쟁 상처를 치유하고자 한 소설 「학」 (황순원 , 1956), 「학마을 사람들」 (이범선 , 1956), 「수난 이대」 (하근찬 , 1957), 「백지의 기록」 (오상원 , 1959) 전후 사회 세태를 묘사한 소설 「비 오는 날」 (.. 열린노트/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69. 정한숙 정한숙의 생애 일오(一梧) 정한숙(鄭漢淑, 1922~1998)은 평북 영변에서 태어나, 1945년(24세) 해방 직후 홀로 월남하여 고려대학교 국문과에 입학하였다. 대학 때부터 ‘주막’ 동인으로 활동하다가 1948년(27세) 에 단편 를 발표하며 문단에 나왔다. 1950년(29세) 6 · 25가 터진 후에는 미처 피난하지 못해 숨어 지내다가 이듬해 부산으로 피난을 갔는데, 이 때 본 피난지 부산의 세태와 전쟁이 개인의 삶에 남긴 상처를 에 담아 1952년(31세) 발표하였다. 1953년(32세)에는 에 중편 이 입선하고, 이어 을 내놓았다. 1955년(34세)에는 에 그의 대표작인 단편 를 발표하여 문단의 호평을 받았다. 이후 1950년대 내내 , , 등 많은 작품을 쏟아낸다. 1960년(39세)에는 단.. 열린노트/현대문학테마
오토데스크 123D로 미니 파레트용 엠티 팬을 모델링해 보자 지난번에 요런 휴대용 미니 수채화 팔레트를 만들었다고 포스팅한 적이 있었더랬지. 포켓 파레트 제작 포스팅 바로가기 위 포켓 팔레트는 아주 잘 쓰고 있다. 그런데 왠지 그림 그릴 때 쓰다 보면 언젠가 녹이 슬 것만 같다. 녹 방지를 위해 투명매니큐어로 한 번 코팅하긴 했지만, 매니큐어라고 안 닳을까 싶다. 그치만 요만한 플라스탁 엠티 팬은 구할 수가 없어....ㅠㅠ 그래서 3D 프린팅을 해 보기로 결심했다. 출력 대행 서비스를 알아 봤는데 모델링 파일을 만들어 주는 게 나을 것 같았다. 약간의 서칭 결과 오토데스크(Audodesk) 123D라는 프로그램을 선택, 설치했고... 3D의 '쓰' 자도 모르는 솜글의 난항이 시작되었다.... 모델링이라니. 3D 프린팅 모델링 도전기 일단 내가 원하는 건 요런 모양.. 열린노트/만들기·그리기
현대문학 테마 68. 정한모 정한모의 생애 전기 활동 정한모(鄭漢模, 1923~1991)는 충남 부여에서 태어나 일본 오사카의 나니와 상업학교를 졸업하였다. 해방 직후인 1945년(23세)에는 서울대학교 시절 동인 ‘백맥’을 결성하지만 실패하고, 다시 ‘시탑’을 꾸리지만 이 역시 자금난으로 그만둔다. 이후 정한숙, 전광용 등과 다시 ‘주막’을 결성하여 동인으로 활동하였는데, ‘주막’ 역시 한국 전쟁 이후 사그라든다. 1950년(28세) 6 · 25 발발 이후 다시 상경해 1955년(33세) 서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신춘문예에 시 이 입선하여 정식으로 등단한다. 1959년(37세)에는 서울대학교 대학원을 수료하고, 전광용이 휘문 고교를 떠날 때 그 자리에 들어갔다. 정한모가 본격적으로 시인으로서 활동한 것은 1958년(36세)의.. 열린노트/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67. 전광용 전광용의 생애 학창 시절과 전기 문학 백사(白史) 전광용(全光鏞, 1919~1988)은 함남 북청에서 3 · 1 운동이 일어나던 1919년 3월 1일에 태어나 1937년(19세) 농업학교를 졸업한 후 함흥 금융 조합에 자리를 얻어 들어간다. 1939년(21세)에 신춘문예에 동화 가 입선하여 문학과 인연을 맺었다. 1943년(25세) 유학을 위해 일본으로 갔지만 곧 돌아오고, 1945년(27세) 경성경제전문학교에 입학해 수료한다. 이어 1947년(29세) 늦은 나이에 서울대학교 국문과에 들어갔다. 이 무렵부터 정한숙, 정한모 등과 함께 ‘주막’ 동인을 결성하여 습작한 글을 서로 나눠 읽고 토론하며 착실하게 문학 수업을 쌓았다. 1950년(32세) 6 · 25가 터져 피난살이를 하는 와중에도 학업을 놓지 않.. 열린노트/현대문학테마
<어반 스케치> 저자 마크 타로 홈즈(Marc Taro Holmes)의 수채화 도구에 관한 글 Watercolor Supplies List 저자 마크 타로 홈즈(Marc Taro Holmes)의 수채화 도구에 관한 글을 발로 번역해서 공유한다. 영어 고자이지만 알아먹을 만하게는 번역한 것 같다. 원문은 아래에서 볼 수 있다. 마크 타로 홈즈의 Watercolor Supplies List 포스팅 바로가기 종이 나는 주로 면(Cotton)이 함유된 140lb 콜드프레스 Full Sheet(22×39")를 사서 야외 작업을 위해 1/2, 1/4 또는 1/6 크기로 잘라 쓴다. Full Sheet보다 더 큰 크기는 Double Elephant (30×40")나 Emperor(40×60") 같은 구식 이름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아직은) 그렇게 큰 사이즈의 작업을 하지 않는다. 더 저렴하게 사기 위해 보통.. 열린노트/만들기·그리기
현대문학 테마 66. <후반기>와 모더니즘 : 김경린, 박인환, 김규동 의 발간과 신세대의 출현 6 · 25 전쟁 직전 을 펴낸 바 있던 박인환과 김경린은 1951년, 피난지였던 부산에서 이봉래, 조향, 김규동 등을 끌어들여 시 전문 ‘후반기’ 동인을 결성한다. 이들은 1950년대를 “20세기 후반기의 시작”이라는 의미로 해석하였으며, 시적 상상력의 근거지로 주목한 곳은 ‘도시’였다. ‘후반기’ 동인 시인들은 유치환, 서정주 등의 ‘인생파’와 조지훈, 박목월, 박두진의 ‘청록파’를 비판하고, 반 전통성, 도시성, 서구 모더니즘 기법을 추구한다. 기성 주류 문단에서 배척당할 것이 뻔했기 때문에 김동리, 조연현 등의 채널이 아니라 당시 비주류였던 김광섭 등의 도움을 얻어 지면을 확보하였다. 의 시인들은 앞 세대에 반기를 들고 나타났다는 점, 현대 도시 문명을 새로운 언어와 시 .. 열린노트/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65. 오영수, 손창섭, 장용학 1950년대에는 , , , 등 새로운 문학 지면이 만들어지는데, 특히 는 문학보다는 사상의 조류에 접근 가능하게 하는 지식을 주로 전달하던 잡지로, 시대를 보는 객관적 시선과 비판적 태도로 젊은 지식인과 학생들에게 환영 받다가 점차 문학지로 성격이 바뀐다. 그러자 이들 문예지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새로운 한글세대 소설가들이 등장하는데, 오영수, 손창섭, 장용학이 대표적이다. 오영수 오영수의 생애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오영수(吳永壽, 1911~1979)는 경남 울주의 바닷가 근처에서 빈농 집안의 장남으로 태어난다. 1921년(11세)경까지 서당에서 한문을 배우고 1928년(18세)에야 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어릴 때부터 글과 글씨를 잘 썼는데, 학교를 졸업한 후 면사무소에서 서기로 일하다가 공부를 더 하고.. 열린노트/현대문학테마
윈도우용 Autodesk 123D Design과 한캐드(Hancad) 3D 프린팅 출력 대행 의뢰를 하고 싶었는데, 정확한 견적을 내고 원하는 결과물을 얻으려면 모델링 파일을 직접 만들어서 주는 게 좋을 것 같았다. 이런식으로 3D 모델링에 입문하게 되다니. 이렇게 갑자기?? -_- 그래서 모델링 프로그램들을 좀 알아봤다. 초보용으로, 그리고 무료 프로그램으로. 1. 팅커캐드(TINKERCAD) 스케치 기능이 없다고 한다. 2. 퓨전360(Fusion 360) 어려운 고급 프로그램인가 보다. 3. 오토데스크(Autodesk) 123D 정식 버전은 끊겼고 더 이상 공식 지원은 없다고 한다. 4. 한캐드(HanCAD) 최근 무료화한 국산 프로그램. 국산이니 언어장벽 문제는 없다. 이중 우선 오토데스크 123D와 한캐드(HanCAD)를 설치해 보았다. 오토데스크 123D는 어떤.. 열린노트/만들기·그리기
RAW 파일을 JPG 파일로 일괄 변환하는 간단한 프로그램, Quick Raw 사진을 RAW 파일로 촬영하면 참 좋은 점이 많지만 아무래도 포토샵에서 그냥 열리지도 않고, SNS에 올려지지도 않기 때문에 불편하다. 파일 확장자별로 변환하는 프로그램들이 있지만 대부분 고급(?) 기능이라서 빠르게 많은 사진을 변환해야 할 때는 너무 번거롭다 . 그러다가... 아주 좋은 품질의 변환은 아니지만 아무튼 빠른 속도로 RAW 이미지 파일을 JPG로 일괄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공유한다. 국내 누군가가 개발한 듯하다. 시험해 본 결과 1616X1080px 정도 크기이니 가볍게 활용하기에 문제 없고, 정말 엄청 빠른 속도로 변환됐다. 한 번에 변환할 수 있는 장수 제한도 없어서 편하다. 지원하는 파일 확장자는 다음과 같다. 사용 방법은 간단하므로 따로 적지 않는다. RAW 파일 : CRW, CR2,.. 열린노트/IT·SW·디자인
현대문학 테마 64. 황순원 황순원의 생애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황순원(黃順元, 1915~2000)은 평남 대동의 명문가에서 태어난다. 1922년(8세)에 평양으로 이사하여 1924년(10세) 평양 숭덕 소학교에 들어가는데, 당시로서는 드물게 스케이트도 타고 축구와 바이올린까지 배웠다고 한다. 그는 1927년(13세) 때부터 체증을 다스리기 위해 어른들 허락 하에 소주를 마시기 시작했는데, 평생 소주 애호가로 살았다. 1929년(15세)에는 정주 오산 중학에 입학하여 이승훈 선생을 만나고, 평양 숭실 중학으로 전학한 후부터 동요와 시를 쓰기 시작하여 1931년(17세) , 등을 발표하였다. 1934년(20세)에는 졸업 후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 대학에서 공부하는데, 이때 ‘학생예술좌’라는 극예술 연구 단체를 창립하여 활동하고, 그.. 열린노트/현대문학테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