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테마 17. 박종화
박종화의 생애 월탄(月灘) 박종화(朴鍾和, 1901~1981)는 서울 유림 집안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에 한학을 익힌다. 이후 보통학교도 거치지 않은 채 휘문 의숙에 입학하는데, 졸업하던 1920년(20세)에 홍사용, 정백과 동인지 «문우»를 펴내면서 비평 을 실음으로써 문단에 나왔다. 그리고 1921년(21세)에는 «장미촌» 창간호에 , 를 발표한다. 이듬해인 1922년(22세)에는 홍사용 등과 «백조»를 창간하고 주로 «백조»에서 활동한다. 이 시기에는 주로 죽음의 이미지로 가득 찬 어둡고 음울한 색채의 시들을 발표하는데, 1922년의 , , 수필 , 평론 , 1923년(23세)의 , , 시 등이 있다. 그러는 동안 박종화는 «백조»를 대표하는 낭만주의 작가로서의 위치를 굳힌다. 특히 1923년에는 평..
열린노트/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16. 홍사용
홍사용의 생애 노작(露雀) 홍사용(洪思容, 1900~1947)은 용인에서 태어나 휘문의숙과 휘문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다. 학창 시절부터 동창인 박종화, 정백과 함께 급우지 «피는 꽃»을 만들었고, 1919년(20세)에는 시 등을 습작하였다. 졸업 후에는 고향에서 자연에 묻혀 지내다가 1920년(21세) 박종화, 정백과 동인지 «문우»를 펴는데, 여기에 시 을 싣기도 했다. 홍사용이 본격적으로 문단 활동을 시작한 것은 1922년(23세) «백조»를 창간하면서부터이다. 그는 «백조»의 편집을 맡으면서 창간호에 , , , 은 발표하고, 2호와 3호에 , 등 많은 작품을 발표하였다. 그는 시뿐 아니라 소설 , 수필 등 여러 장르에 손을 댄다. 특히 «백조»가 폐간된 후에는 연극에 관심을 가져 1923년(24세) ..
열린노트/현대문학테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