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시15

현대문학 테마 포스트 1~100, 드디어 끝. 2014년 2월 4일에 '현대문학 테마 포스트 : 결심, 기획, 구상'이라는 첫 번째 글을 포스팅했는데, 무려 8년 후인 오늘에야 현대문학 테마 포스트 100편이 끝났다. 8년 전, 첫 번째 기획 글 보기 이렇게 오래 할 일은 아니었다. 차일피일 미루다 보니 너무 늦어진 것 같다. 별로 어려운 것도 아닌데 왜 그렇게 질질 끌었을까. 귀찮았나? 다 끝내니 홀가분하다. 이 (혼자만 느끼는) 영광을 한국 현대문학을 빛낸 문인들과 연구가들, 비평가들, 그리고 2007년 을 펴내 현대문학 테마 포스트의 계기를 마련해 주신 장석주 선생님께 돌립니다. 참고로 1975년(21세) 문단에 데뷔한 장석주 시인은 우리가 잘 아는 작품, 의 시인이다. 얼마 전 을 포함해 66편의 시를 담은 시선집 를 냈다. 시선집 정보 바로.. 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100. 정호승, 곽재구, 안도현 1980년대에는 암울한 현실에서 오는 고통과 저항의식, 우울성을 이성복, 황지우, 기형도처럼 형태 파괴로 드러낸 시인들도 있었지만, 이런 비감의 소재를 내면화한 시인들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정호승, 곽재구, 안도현을 꼽을 수 있다. 정호승 정호승의 생애 정호승(鄭浩承, 1950~)은 경남 하동에서 태어나 대구에서 자랐다. 경희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정호승은 1973년(24세) 신춘문예에 시 가 당선되어 문단에 나오고, 1982년(33세) 신춘문예에 단편 가 당선된 후부터는 소설에도 손을 댔다. 지금까지 (1979), (1982), (1987), (1990), (1998), (2004), (2007) 등의 시집과 장편 소설 (1993)를 펴낸 바 있다. 이렇게 문학 활동에 힘쓰.. 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93. 신경림 신경림의 생애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신경림(新庚林, 1935~)은 충북 충주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명은 응식(應食)이며, 일찍 개화한 지식인 집안에서 비교적 부유하게 자랐다. 노은국민학교 4학년이던 1946년(12세) 당숙과 함께 목계에 간 적이 있는데, 전부터 어른들의 이야기 속에서 낙원의 이미지로 나오곤 하던 그 곳의 풍경을 신경림은 공책 한 귀퉁이에 적어 둔다. 이것이 선생님의 눈에 띄어 ‘시인’이라는 별명을 얻었다고 한다. 1948년(14세)에는 충주사범병설중학교에 입학하는데, 담임이자 문예반 지도 교사이던 정춘용으로부터 아낌없는 격려를 받았다. 이 시기 신경림은 이광수, 김동인, 이기영 등의 책들을 닥치는 대로 읽으며 문학적 소양을 쌓는다. 그런데 3학년 때인 1950년(16세)에 6 · .. 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92. 김지하 김지하의 생애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김지하(金芝河, 1941~)는 전남 목포에서 태어나는데, 본명은 영일(英一)이다. 그의 증조부는 동학 운동을 하다가 숨졌고, 할아버지는 피신한 뒤 일본으로 건너갔다고 한다. 1950년(10세) 김지하는 어린 나이에 한국 전쟁의 비극을 겪는데, 이 체험은 훗날 그의 초기 대표작 로 형상화된다. 1953년(13세)에는 목포 산정국민학교를 졸업하고 목표중학교에 진학하는데, 이듬해 아버지가 영화관 기사로 취직하면서 강원도 원주로 이주하여 원주중학교에 편입한다. 원주는 일찍이 가톨릭이 번성한 곳이라 김지하도 선배의 손에 이끌려 가톨릭 교구에 드나들지만 정식으로 세례를 받지는 않는다. 1956년(16세)에는 서울로 올라가 중동고등학교에 다니면서 문예반에 가입하고 김소월, 김영랑.. 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90. 김종삼, 전봉건, 천상병 김종삼, 전봉건, 천상병은 현실 세계와 거리가 먼 순수 지향적인 의식을 꾸밈없는 정서로 드러내는 천진성을 특징으로 한다. 김종삼 김종삼의 생애 김종삼(金宗三, 1921~1984)은 황해도 은율에서 신문 기자를 낸 지식인 아버지에게서 태어난다. 어린 시절을 평양에서 보내다가 숭실중학교를 중퇴한 후 1938년(18세) 일본 토요시마 상업학교에 편입했으며, 본래는 고전 음악을 좋아하여 작곡을 하고 싶어 했지만 아버지의 반대로 문학 공부를 한 후 1944년(24세) 도쿄 출판배급주식회사에서 일했다. 일본에서 김종삼은 도스토예프스키, 바이런, 하이네, 발레리 등의 작품을 읽으며 지내다가 해방을 맞은 25세에 귀국하였다. 김종삼은 전시인 1951년(31세) 시 을 내놓으며 시단에 들어온 후 1953년(33세)부터 .. 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88. 김광섭 김광섭의 생애 어린 시절과 유학 시절 이산(怡山) 김광섭(金珖燮, 1905~1977)은 함북 경성의 바닷가에서 태어나, 한약방을 경영하던 할아버지 덕분에 한동안 넉넉하게 자란다. 할아버지가 죽고부터 가세가 기울어 잠시 고생하긴 했지만 아버지의 사업이 번성하여 다시 가세가 회복되어 유복하게 성장하였다. 김광섭은 어릴 때 서당에서 한문을 익히고 1915년(11세) 경성공립보통학교에 편입하여 이 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집에서 독학을 하다가 1920년(16세) 서울로 가서 중앙고보에 입학하고, 1925년(21세)에는 일본으로 건너가 아이치 의대의 입학시험을 친다. 그런데 신체검사에서 색맹임이 드러나 불합격 판정을 받는 바람에 이듬해에 와세다 대학 영문과에 들어갔다. 1927년(23세) 김광섭은 와세다 대학 내.. 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87. 황동규 황동규의 생애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황동규(黃東奎, 1938~)는 평남 영유에서 소설가 황순원의 아들로 태어난다. 재경국민학교에 입학하던 1945년(8세) 해방을 맞는데, 이듬해 가족들이 달구지를 타고 삼팔선을 넘어 서울에 정착한 후 덕수국민학교에 재입학하였다. 황순원이 서울고등학교 교사가 되면서 교내 사택에서 살았는데, 전쟁 후 1951년(14세) 1 · 4 후퇴 때는 대구로 이주하여 곤궁한 살림을 꾸렸다. 이 시기 황동규는 너무 가난해서 껌팔이 소년으로 나서기도 한다. 1952년(15세) 부산으로 이주한 후에는 서울중학교에 입학하는데, 이 시기 윤동주와 김소월의 시를 접하고 습작을 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1953년(16세) 가족과 함께 서울로 돌아와 학생 잡지에 시를 투고하기 시작하였다. 1954.. 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86. 김현승 김현승의 생애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김현승(金顯承, 1913~1975)은 평양의 독실한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나, 목사인 아버지를 따라 어린 시절을 제주도, 광주 등지에서 보냈다. 광주에서 기독교 계열의 숭일소학교를 마친 후 부모와 떨어져 형이 있던 평양 숭실중학에 입학하는데, 그곳의 기숙사에서 생활하여 스포츠, 영화, 문학에 심취하였다. 김현승은 영국 시인 브라우닝의 를 읽고 감동한 후 시를 습작하기 시작하는데, 곧 교지 에 시 을 싣는 등 일찍부터 문학에 재능을 보였다. 1932년(20세) 졸업 후 숭실전문 문과에 입학한 후에는 당시 숭실전문의 교수로 있던 양주동과 이효석의 강의를 듣고 더욱 창작에 힘을 쓴다. 문단 데뷔와 전기 활동 1933년(21세) 위장병 때문에 요양 차 광주로 내려갔다 온 후에.. 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80. 김남조 김남조의 생애 김남조(金南祚, 1927~)는 대구에서 초등학교를 마친 후 일봉 후쿠오카의 큐슈 여고를 졸업했다. 귀국 후 서울대학교 문예과를 수료하고 다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문과에 들어가는데, 재학 중이던 1950년(24세) 에 시 과 을 발표하며 문단에 나왔다. 6 · 25가 터진 후 1951년(25세)에는 피난지 부산에서 대학을 마치고, 이후 고등학교 교사를 거쳐 서울대, 성균관대 강사로 활동하던 1953년(27세) 첫 시집 을 내놓으며 본격적인 문학 활동을 시작하였다. 또 1955년(29세)에는 숙명여대 전임 강사로 있으면서 시집 를 발간하고, 조각가 김세중과 결혼하였다. 1958년(32세)에는 초기 시에서 보이던 고립된 자아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 타자와의 교감이 가능한 보편적 정서를 담아낸 .. 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79. 박남수 박남수의 생애 초기 활동 박남수(朴南秀, 1918~1994)는 평양에서 태어나 평양 숭인상업학교 재학 중이던 1932년(16세) 에 시 를 투고하는 등 일찍부터 문학에 관심을 보였다. 졸업 후 일본 주오 대학에서 공부하면서 1939년(23세) 에 투고한 , , , , 등이 정지용의 추천을 받아 정식으로 등단했는데, 공교롭게도 같은 해 으로 등단한 이른바 ‘청록파’ 시인들에게 가려져 별로 빛을 보지 못했다. 청록파 시인들이 순수한 서정으로 자연을 노래했다면, 같은 시기 박남수의 시들은 농촌 생활이나 풍경을 소재로 하면서도 일제 강점에 의한 피식민 상황이라는 암울한 시대상을 ‘밤’, ‘어둠’ 같은 상징으로 풀어내 당대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 의식을 드러낸다. 1940년(24세)부터 박남수는 창작과 이론을 겸하.. 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78. 김관식, 구자운, 김종길 김관식, 구자운, 김종길은 1960년을 전후로 문단 활동을 시작하여 주로 고전적인 기풍을 절제된 언어를 통해 드러낸 시인으로 평가된다. 김관식 김관식(金冠植, 1934~1970)은 한문과 동양의 고전에 능통하여 동양인의 서정 세계를 동양적 감성으로 구상화함으로써 특이한 시풍을 개척한 시인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세련된 시어와 밝은 동양적 경지로 승화하려는 높은 정신의 추구를 엿볼 수 있으며, 서양 외래 사조를 배격하고 동양적 예지의 심오한 세계로 몰입하여 그 경지를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세속적 생활 방식을 무시한 기행(奇行)으로 유명했던 그는 결국 가난과 질병으로 37세에 요절하고 말았다. 대표작으로는 1957년(25세) 펴낸 첫 시집 에 실린 가 있다. 너무나 사무치는 그리움 때문에 돌이 되었다는 .. 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74. 신동엽 신동엽의 생애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신동엽(申東曄, 1930~1969)은 충남 부여읍 동남리에서 농민의 장남으로 태어나는데, 집안이 워낙 가난했다고 한다. 1943년(14세) 부여국민학교를 졸업한 후 학비를 줄이기 위해 마을에서 관비가 지원되는 전주사범학교에 입학하여 병영 생활이나 다름없는 일제 말기의 전주사범 기숙사 생활을 묵묵히 견딘다. 이 무렵부터 신동엽은 문학에 관심을 기울였는데, 하근찬의 회고에 의하면 신동엽은 매우 내향적이고 키가 작은 친구였다고 한다. 신동엽은 1948년(19세) 동맹 휴학으로 귀향하여 국민학교에 발령 받았다가 사흘 만에 그만두고, 이듬해인 1949년(20세) 단국대 사학과에 입학한다. 그러나 곧 6 · 25가 일어나는 바람에 부여에서 민청 선전 부장으로 지내다가, 서울 수.. 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73. 김수영 김수영의 생애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김수영(金洙暎, 1926~1968)은 서울 종로에서 8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난다. 김수영의 가문은 본래 무반 계급으로, 경기도와 강원도에 널따란 땅을 가지고 해마다 4백여 석을 거둬들이는 지주 집안이었지만 일제 강점기 급변하는 사회 흐름에 적응하지 못해 서서히 몰락하였다고 한다. 김수영은 대여섯 살 때부터 유치원과 서당에 나가 한문을 배우고, 1934년(9세)부터는 효제초등학교의 전신인 어의동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여 전 학년 우등으로 졸업한다. 그러나 보통 학교를 졸업할 즈음부터 폐렴과 늑막염 때문에 1년쯤 학업을 쉬었고, 결국 당대 수재들이 진학하던 경기도립상업학교 입학에 낙방하고 2차로 응시한 선린상업에도 떨어져 선린상업의 야간부에 진학했다. 1941년(16세) 김.. 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72. 김춘수 김춘수의 생애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김춘수(金春洙, 1922~2004)는 경남 충무의 꽤 유복한 집안에서 태어나 따뜻한 보살핌을 받으며 자란다. 그의 부모는 개방적 사고를 가지고 있어 일제 강점기에 보기 드물게 그를 유치원에 보내는데, 김춘수는 자신의 환경에 대해 우월감을 갖기보다는 오히려 또래 친구들에 대한 미안함과 죄책감, 그리고 여기에서 비롯된 소외감 때문에 괴로워한다. 1929년(8세) 김춘수는 보통학교에 입학하여 내내 일등을 차지하고 도지사 표창까지 받는다. 졸업 후에는 서울로 올라와 하숙방을 잡고 경기공립중학교를 졸업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 김춘수는 낯선 도시 생활에 적응하지 못해 교과 성적이 자꾸 떨어져 갔고, 이를 염려한 아버지는 조부모만 고향에 남기고 가족들을 데리고 서울로 올라왔다. .. 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62. 박두진 박두진의 생애 박두진(朴斗鎭, 1916~1998)은 경기도 안성에서 태어나 1939년(24세) 6월 에 , , 이 추천되고, 1940년(25세) , 가 추천되어 청록파 시인 중 가장 먼저 완료 추천을 받는데, 이때 정지용으로부터 극찬을 받았다. 이후로도 꾸준히 , , , 등 자연의 아름다움을 담아낸 시들을 발표한다. 해방 후 을 발간할 무렵인 1946년(31세)에는 서정주, 박목월과 함께 우익 문학 단체인 ‘청문협’에 가입한다. 그러나 그는 단체 활동이나 정치보다는 등산, 수석 채집, 서예에 더욱 몰두하는 정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그런 박두진 역시 해방의 기쁨을 노래하는데, 1949년(34세)에 펴낸 첫 단독 시집 에서는 여전히 산을 소재로 하면서도, 이전과는 달리 이글이글 타는 해를 솟아오르게 하.. 현대문학테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