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장관 안경덕)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사장 안종주)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1.27.)을 앞두고 위험 기계로 인한 사망사고 예방을 위해 「고소작업대 안전관리 매뉴얼」을 제작·배포한다고 밝혔다.
고소작업대는 높은 장소에서 작업 시 근로자가 작업대 안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만든 장비이나, 사망사고 대부분은 안전수칙 미준수로 발생하여 안전에 대한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 9년간(’12~’20년) 고소작업대 사고사망자는 대부분 건설업에서 발생했는데, 근로자가 작업대에서 떨어지거나 끼이는 사고였다.
특히, 사망사고는 건물 외벽공사 등에서 사용하는 차량탑재형 고소작업대(이하, ‘차량탑재형’)에서 떨어지는 사고가, 실내에서 사용하는 시저형 고소작업대(이하, ‘시저형’)는 끼이는 사고가 많았다.
차량탑재형 떨어짐 사고의 경우 안전난간을 임의 해체하거나 안전대 미착용 등 안전수칙 미준수로 약 77.5%(79명)가 발생하였고, 시저형 끼임 사고의 경우 과상승방지장치 설치가 미흡하거나, 미설치 등으로 인해 약 50.0%(30명)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차량탑재형 > | < 시저형 > |
---|---|
![]() |
![]() |
2020.12. 아산 OO신축공사에서 유리 코킹작업 중 해체된 안전난간에서 떨어짐 2020.10. 부산 OO공장 신축공사에서 볼트작업 후 해체된 안전난간에서 떨어짐 |
2020.9. 경북 OO창고 설치공사에서 판넬 작업 중 작업대가 갑자기 상승하여 끼임 2020.3. 경기 OO센터 신축공사에서 배관 보온작업 중 상승하던 작업대에 끼임 |
이러한 사망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소작업대 작업 시작 전 관리자, 작업자 등 각 주체는 작업 방법 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관리자는 안전난간, 과상승방지장치 등 상태, 보호구 착용 여부, 작업장소 지반 상태, 유도자 배치 등을 포함한 작업계획서를 작성, 작성된 계획서의 내용을 작업자, 유도자 등에게 주지시켜야 한다.
- 작업자(작업대 탑승자)는 작업 전 작업 방법을 이해하고, 안전난간, 안전장치 상태 확인 및 안전대 등 보호구를 착용하여야 한다.
- 유도자는 고소작업대와 접촉 거리 유지, 작업 방법에 따른 차량 유도 및 관계 근로자가 아닌 사람의 출입을 통제하여야 한다.
이번 매뉴얼은 사망사고 현황과 다양한 사례, 원인 등을 바탕으로 관리자 등 각 주체가 핵심 위험요인을 확인할 수 있는 점검 방법과 계획․준비․작업 단계별 필수 점검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래 예시 참조)
작업별 구분 | 주요 점검 방안 |
---|---|
계획 수립 | ■ 작업에 따른 추락/낙하/전도 등 위험 예방대책 수립 ■ 고소작업대 작업 환경(이동경로 등) 확인, 계획서에 반영 |
준비(장비 설치) | ■ 작업대 전면에 설치된 안전난간의 탈락, 부식 여부 등 확인 ■ 과상승방지장치 작동상태 확인, 유효 높이를 고려하여 설치 |
작업 | ■ 작업구역에 관계 작업자 외의 출입 통제 ■ 안전대, 안전모 등 보호구 착용 여부 확인 |
또한, 사업장에서 점검이 곤란했던 고소작업대의 과부하방지장치, 자동안전장치 등 안전장치 점검 방안을 포함하고, 사고 관련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자 하였다.
고소작업대 대여 관계에서 안전한 사용 방법과 과상승방지장치 설치기준을 의무화하는 법령 개정도 추진할 예정이다.
고소작업대 안전관리 매뉴얼 목차
Ⅰ. 개 요
- 개요
Ⅱ. 사망재해 현황 및 분석
- 사망재해 현황 및 분석
Ⅲ. 이런사고가 있었습니다
1. 차량탑재형 고소작업대
2. 시저형 고소작업대
3. 기타(자주식 등) 고소작업대
4. 이런 사고도 있었습니다
Ⅳ. 이것만은 준수하세요!
1. 고소작업대 임대·대여 시 주의사항
2. 차량탑재형 고소작업대
3. 시저형 고소작업대
4. 기타(자주식 등) 고소작업대
Ⅴ. 이렇게 쓰면 안 됩니다!
1. 차량탑재형 고소작업대
2. 시저형 고소작업대
3. 기타(자주식 등) 고소작업대
Ⅵ. 주요안전장치 및 점검방법
1. 차량탑재형 고소작업대
2. 시저형 및 자주식 고소작업대
Ⅶ. 안전점검 리스트(Check list)
1. 차량탑재형 고소작업대
2. 시저형 고소작업대
3. 기타(자주식 등) 고소작업대
고소작업대 안전관리 매뉴얼(PDF)
'노무사노트 > 정부 지침·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동자 경고 무시해 발생한 중대재해, 경영책임자 엄벌 (0) | 2022.01.25 |
---|---|
중대재해처벌법 주요 FAQ (고용노동부) (0) | 2022.01.23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시작 : 월 최대 80만원(연 960만원) 지원 (0) | 2022.01.19 |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장려금 세부내용 (0) | 2022.01.16 |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구성·운영 매뉴얼 제작·배포 (0) | 2022.01.16 |
이 글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