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인 이상 30인 미만의 민간기업도 명절, 국경일 등 관공서의 공휴일(단, 일요일은 제외*)과 대체공휴일을 2022.1.1.부터 유급휴일로 보장해야 합니다.
* 민간기업의 경우 근로기준법 제55조 제1항에 따라 주 1회 이상의 유급 주휴일을 부여하므로 관공서 공휴일 중 일요일은 민간기업에 적용되는 공휴일에서 제외
종전에는
관공서 공휴일이 민간기업의 법정 유급휴일이 아니었으나, 2020년부터 기업규모에 따라 단계적으로 법정 유급휴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 (적용시기) △300인 이상 및 공공기관 : 2020.1.1., △30~299인 : 2021.1.1., △5~29인 : 2022.1.1.
한편,
공휴일(대체공휴일 포함)에 불가피하게 근무할 수 밖에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대표와 서면합의를 통해 공휴일에 근무하는 대신 다른 근로일을 특정하여 유급휴일로 부여(휴일대체)할 수 있습니다.
만약
휴일대체를 하지 않은 채 근로자가 공휴일(대체공휴일 포함)에 근로를 했다면 휴일근로 가산수당*을 포함한 임금을 추가로 지급해야 합니다.
*△8시간 이내의 휴일근로 → 50% 가산, △8시간 초과한 휴일근로→ 100% 가산
자세한 내용은
아래 고용노동부 홍보물 참조.
'노무사노트 > 정부 지침·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보건법상 일용근로자 채용시교육의 교육시간에 대한 고용노동부 행정해석 변경 (0) | 2021.12.26 |
---|---|
고용노동부 연차유급휴가 행정해석 변경 (0) | 2021.12.26 |
임금명세서(급여명세서) 교부 등 개정 근로기준법 설명 자료 (0) | 2021.12.26 |
중대재해처벌법 해설 자료 (0) | 2021.12.26 |
개정 <근로기준법>의 근로시간 단축 - 주 52시간 관련 Q&A (0) | 2018.06.18 |
이 글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