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장관 안경덕)는 2021. 12. 31, 전국 17개 시도별 일과 생활의 균형 정도를 보여주는 ‘2020년 기준 지역별 일·생활 균형 지수’를 발표했다. 일·생활 균형 지수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위탁하여 일, 생활, 제도 및 지자체 관심도 등 4개 영역, 24개 지표에 대해 실태조사 등을 통해 산출한 점수로 2017년부터 매년 발표하고 있다.
이번에 산출한 일·생활 균형 지수는 2020년도 기준 실태조사 등의 자료를 토대로 전문가의 조사·자문·검증, 지자체 자료 수집 등을 거쳐 산출하였다.
일·생활 균형지수 산출 세부지표
영역(배점) | 세부 지표(24개 지표) |
일 (22.1점) |
①총 근로시간, ②초과 근로시간, ③휴가기간, ④유연근무제 도입률, ⑤유연근무제 이용률 |
생활 (30.1점) |
①남성 가사노동시간 비중, ②여성취업에 대한 견해, ③가사분담에 대한 견해, ④일과 가족생활 우선도, ⑤평일 여가시간, ⑥평일 여가시간 충분도, ⑦일‧여가생활 균형 정도 |
제도 (25.0점) |
①여성육아휴직 사용 사업장, ②남성 육아휴직 사용 사업장, ③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사용 사업장, ④배우자 출산휴가 사용 사업장, ⑤국‧공립 보육시설 설치율, ⑥초등돌봄교실 이용률, ⑦일‧가정 양립제도 인지도 |
지자체 관심도 (22.8점) |
①일‧생활 균형 조례 유무, ②일‧생활 균형 제도 홍보, ③담당조직 유무 ④일‧생활 균형 관련 교육‧컨설팅, ⑤가족문화 관련시설 현황 |
실태조사 결과
2020년 기준 일·생활 균형 지수는 전국 평균 53.4점으로
2019년 평균 50.5점보다 2.9점이 증가하였고, 17개 시도 중 12개 지역에서 점수가 상승하는 등 일·생활 균형 수준이 지난해보다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일·생활 균형 수준은
서울(62.0점), 부산(61.2점), 제주(57.6점), 전남(57.4점), 세종(55.9점)이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영역별 일·생활 균형 수준을 살펴보면,
- “일 영역”에서는 총근로시간(182.8시간→163.4시간) 및 초과근로시간이 감소(12.2시간→10.0시간)하는 등 일에 대한 비중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주 52시간 근무제도 및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재택근무 등 유연근무 제도의 확산*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 “생활 영역”에서는 ‘가사 일을 남녀가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는 견해 비율이 상승(58.7%→62.1%)하였고, 평일 여가 시간 및 일·여가생활의 균형 정도가 크게 개선되는 등 가사노동 분담에 대한 인식과 일·생활 균형 문화가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제도 영역”에서는 여성 및 남성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배우자 출산휴가, 국공립보육시설 설치율 등이 모두 증가하는 등 일·생활 균형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되고 있음을 나타냈다.
- “지자체 관심도 영역”에서는 일·생활 균형 조례 제정, 전담 부서 및 인원 확충, 관련 시설 및 교육·컨설팅의 지표 점수가 증가하는 등 지자체의 노력이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영역별 순위를 살펴보면, “일 영역”은 울산(15.8), 부산(15.5), 서울(15.4), “생활 영역”은 제주(20.2), 부산(17.3), 울산(17.1), ”제도 영역“은 서울(20.8), 세종(20.7), 울산(17.1), ”지자체 관심도“ 영역은 경기(13.0), 부산(12.7), 전남(11.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2019년 지수와 비교하여 향상된 정도를 살펴볼 때
울산(10단계 상승)이 가장 크게 개선되었고, 뒤를 이어 충남(7단계 상승), 경남(5단계 상승) 순으로 상승폭이 컸다.
2020년 기준 시도별 일·생활 균형지수
순위 | 지역 | 계 (100점) |
일 (22.1점) |
생활 (30.1점) |
제도 (25.0점) |
지자체 관심도 (22.8점) |
|
전국 평균 | 53.4 | 13.7 | 15.9 | 15.7 | 8.0 | ||
시 | 54.5 | 14.4 | 16.0 | 16.6 | 7.5 | ||
도 | 52.5 | 13.2 | 15.9 | 14.9 | 8.5 | ||
1 | 서울 | 62.0 | 15.4 | 15.5 | 20.8 | 10.2 | |
2 | 부산 | 61.2 | 15.5 | 17.3 | 15.7 | 12.7 | |
3 | 제주 | 57.6 | 14.8 | 20.2 | 16.0 | 6.6 | |
4 | 전남 | 57.4 | 14.6 | 15.2 | 15.6 | 11.8 | |
5 | 세종 | 55.9 | 13.4 | 15.3 | 20.7 | 6.5 | |
6 | 경기 | 55.5 | 13.4 | 14.9 | 14.2 | 13.0 | |
7 | 울산 | 55.4 | 15.8 | 17.1 | 17.1 | 5.4 | |
8 | 충남 | 54.4 | 13.4 | 15.4 | 16.5 | 9.1 | |
9 | 경남 | 52.6 | 12.7 | 16.3 | 15.1 | 8.4 | |
10 | 대전 | 51.9 | 14.5 | 15.8 | 15.0 | 6.6 | |
11 | 충북 | 51.7 | 12.5 | 15.3 | 15.6 | 8.3 | |
12 | 대구 | 51.4 | 13.6 | 15.1 | 14.7 | 8.0 | |
13 | 인천 | 49.7 | 13.6 | 15.5 | 15.0 | 5.6 | |
14 | 광주 | 48.5 | 13.1 | 16.1 | 14.0 | 5.3 | |
15 | 전북 | 48.0 | 11.7 | 16.1 | 12.7 | 7.4 | |
16 | 경북 | 47.9 | 12.2 | 14.7 | 14.6 | 6.4 | |
17 | 강원 | 47.0 | 13.0 | 15.3 | 13.5 | 5.2 |
원문 다운로드
'노무사노트 > 뉴스와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직 시간에 일했다고 당직수당만 받은 근로자들 9년 만에 승소 (0) | 2022.01.04 |
---|---|
더불어민주당, 공공부문 노동이사제 처리 시도 (0) | 2022.01.04 |
근로자 77.8%는 주 최대 52시간제 시행을 “잘한 일”로 평가 (0) | 2022.01.02 |
인권위, “플랫폼종사자법 보완 필요” 의견표명 (0) | 2022.01.02 |
노조 조직률 14.2%로 27년 만에 최고 : 2020년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 발표 (0) | 2022.01.01 |
이 글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