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2 현대문학 테마 83. 1960년대 참여 · 순수 논쟁 1963년 김우종과 이형기의 논쟁 논쟁의 시작 ‘미완의 혁명’인 4 · 19 이후, 우리 문단에서는 문학과 삶이 하나이며 작가는 사회와 동떨어진 존재가 아니라는 자각이 일어난다. 이에 따라, 문학이 현실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는 암묵적 동의가 퍼져 나갔다. 이 무렵인 1963년, 김우종은 을 발표한다. 여기서 그는 한국 문학이 이제 대중과 대화해야 한다고 진단하고, 그러자면 문학은 아직까지도 전쟁의 상처로 고통 받는 민중의 현실을 외면해선 안 된다고 말한다. 이제 ‘순수’와 결별할 때라는 것이다. 이 글로 인해 우리 문단은 본격적인 ‘참여 · 순수 논쟁’의 시대로 들어선다. 논쟁의 전개 김우종의 글이 나온 후, 같은 해 김병걸은 에서 앙드레 말로, 카뮈, 사르트르 등 서구 문학에 나타난 보편적 미학 이론을.. 현대문학테마 현대문학 테마 73. 김수영 김수영의 생애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김수영(金洙暎, 1926~1968)은 서울 종로에서 8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난다. 김수영의 가문은 본래 무반 계급으로, 경기도와 강원도에 널따란 땅을 가지고 해마다 4백여 석을 거둬들이는 지주 집안이었지만 일제 강점기 급변하는 사회 흐름에 적응하지 못해 서서히 몰락하였다고 한다. 김수영은 대여섯 살 때부터 유치원과 서당에 나가 한문을 배우고, 1934년(9세)부터는 효제초등학교의 전신인 어의동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여 전 학년 우등으로 졸업한다. 그러나 보통 학교를 졸업할 즈음부터 폐렴과 늑막염 때문에 1년쯤 학업을 쉬었고, 결국 당대 수재들이 진학하던 경기도립상업학교 입학에 낙방하고 2차로 응시한 선린상업에도 떨어져 선린상업의 야간부에 진학했다. 1941년(16세) 김.. 현대문학테마 이전 1 다음